2025.04.15 (화)

  • 맑음동두천 2.1℃
  • 구름많음강릉 5.6℃
  • 맑음서울 4.2℃
  • 흐림대전 4.7℃
  • 흐림대구 5.5℃
  • 구름많음울산 4.5℃
  • 흐림광주 6.2℃
  • 구름조금부산 6.7℃
  • 흐림고창 5.5℃
  • 흐림제주 9.1℃
  • 맑음강화 5.2℃
  • 흐림보은 4.6℃
  • 흐림금산 4.6℃
  • 흐림강진군 7.0℃
  • 구름많음경주시 5.4℃
  • 구름조금거제 6.5℃
기상청 제공

종합 일반

양재동 양곡부지 일대 인공지능(AI) 특구 개발

양곡부지 이전 확정 서울시 「양재AI혁신지구 활성화 계획」 발표
2022년 용역 2023년 카이스트 AI대학원 및 지원센터 개관

theTAX tv 채흥기 기자 | 양재동 현 양곡부지 일대가 인공지능(AI) 특구로 개발이 추진된다. 이를 위해 양곡부지가 지난 15일 농협과 재산교환 절차를 마무리함에 따라 양재 일대를 4차 산업혁명 기반인 인공지능(AI) 산업의 글로벌 혁신 거점으로 본격 조성된다. 

 

21일 서울시는 이런 내용을 골자로 하는 양재 일대에 대한 AI 산업 육성 실행계획인 「양재AI혁신지구 활성화 계획」을 발표했다.

 

 

 

양곡부지 일대는 사통팔달 교통 요충지이자, 삼성, 현대, LG, KT 등 대기업 연구소, 280여 개 중소기업 부설연구소가 밀집해 있는데, 이 일대에 공공 앵커시설을 건립하고, 특구 및 지구 지정을 통해 명실공히 ‘한국을 대표하는 AI산업, 양재 시대’를 연다는 목표다.

 

지난 2017년 AI 분야 기술창업 육성기관인 ‘AI양재허브’가 들어선 데 이어, 2023년엔 AI 전문인재 육성을 위한 ‘카이스트 AI 대학원’과 스타트업 육성을 위한 ‘AI지원센터’가 들어선다. 2027년엔 양곡도매시장 이전 부지에 공공 앵커시설의 핵심인 ‘AI·R&D 캠퍼스’가 개관한다. 여기에는 AI 기업 540개사가 동시 입주하고 대학연구소, 정부출연연구소 등이 집적해 들어선다. 공공주택 300호도 공급돼 AI 전문인재들이 거주하며 일할 수 있는 환경이 조성된다.

 

 ‘AI양재허브’(舊 양재R&CD혁신허브)는 서울시가 양재를 인공지능 산업의 구심점으로 조성하기 위해 2017년 전국 최초로 설립한 AI 스타트업 육성 전문 지원기관으로, 교총회관 등 3개의 민간건물을 임차해 운영 중이다. 2018년~2021년 입주한 기업은 총 137개다. 코로나 위기 속에서도 입주 기업들은 685명의 신규고용 창출, 1,735억원 매출액, 약 1,439억 원 투자 유치를 달성했다.

 

 

서울시는 경쟁력 있는 기업, 연구소, 인재들이 몰릴 수 있도록 양재 일대에 대한 ‘지역특화발전특구’와 ‘특정개발진흥지구’ 지정도 추진한다. 특구로 지정되면 AI, R&D 시설을 확충할 때 용적률 완화를, 지구로 지정되면 세제혜택 등의 인센티브를 받을 수 있다.

 

양재 일대에 대한 ‘지역특화발전특구’ 및 ‘특정개발진흥지구’ 지정을 추진해 AI 산업 활성화의 혁신 거점으로서의 초석을 다진다.

 

먼저 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 관련 기업의 집적도가 높은 양재·우면동 일대(286만㎡)는 AI 관련 ‘지역특화발전특구’로 지정을 재추진한다. 시는 지난 '17년 보류 사유를 보완해 주거지가 분포돼 있는 양재2동 일대는 제외하고, AI·빅데이터 등 4차 산업 관련 기업의 집적도가 높은 양재·우면동 일대로 대상지를 축소해 추진함으로써 실현 가능성을 높일 계획이다.

 

서울시는 2016년 8월 ‘양재 Tech+City 조성계획’ 발표 후 2017년 양재 지역특화발전특구 지정을 추진했으나, 중기부에서 대상면적이 과다하고, 부동산 가격 상승이 우려된다는 이유로 특구 지정을 보류한바 있다. 

 

특구로 지정되면 AI 및 R&D 시설을 확충하거나 공공 앵커시설을 도입할 경우 용적률·건폐율을 최대 150%까지 완화 혜택을 받을 수 있어 기업, 연구소 유치에 탄력을 받을 수 있다.

 

특구 지정에서 제외한 양재2동 일대(9는 통신‧기계‧로봇 등 ICT 산업이 밀집돼 있는 지역 특성을 바탕으로 ‘특정개발진흥지구’지정을 추진한다. 정부가 지정하는 ‘지역특화발전특구’ 결과에 관계없이 서울시 차원에서 추진·지정할 수 있다. 시는 올 연말부터 추진 절차를 밟는다는 계획이다.

 

양재 AI 혁신지구의 핵심 거점 역할을 수행할 ‘양재 AI·R&D 캠퍼스’와 ‘AI지원센터’ 등 공공 앵커시설 건립을 추진한다. AI 전문 대학원, 연구소, 기업 등이 집적해 서로 연계할 수 있는 산·학·연 AI 산업 생태계를 조성함으로써 양재를 ‘글로벌 AI 혁신거점’으로 도약시킨다는 목표다.

 

양재 AI·R&D 캠퍼스는 국내‧외 AI 기업, AI 대학, 연구소가 집적된 산·학·연 융복합 생태계 핵심거점이다. '24년 이전 예정인 양곡도매시장 1만평의 부지에 들어선다. 크게 ▴기업지원 인프라 ▴연구·교육시설 ▴주거공간으로 구성된다.

 

기업 지원 인프라 : AI 관련 소프트웨어와 하드웨어 기업 등 540개 기업 입주 공간, 창업 및 인큐베이팅 공간, 데이터센터, 기술검증 테스트베드 등이 들어선다. AI 스타트업을 넘어 AI·R&D 글로벌·대·중소기업 집적으로 상생협력을 강화할 수 있는 최적의 환경을 조성한다는 계획이다.

 

AI지원센터’는 카이스트 AI 전문대학원과 AI 기업 입주 및 창업·보육을 위한 시설로, ▴전문인재양성 ▴AI스타트업 지원 두 가지 기능에 집중한다. 옛 품질관리소 별관 부지(서초구 태봉로 108)에 '23년 5월에 개관한다. 연간 500명 규모의 AI 전문 인력을 양성하고, 200여개 규모의 AI 스타트업을 지원할 계획이다.

 

전문인재양성 : AI 분야 학위‧비학위 교육과정을 운영해 석‧박사급 고급인재를 육성하고, AI 기업에 대한 원천기술 제공 및 산‧학 공동 프로젝트, KAIST 졸업생과 AI 기업 간 취업 연계 프로그램 등을 추진한다. 기업 간 기술·지식 교류 공간을 제공하고, 시제품 제작 등 연구 결과와 연계한 AI기술·서비스 실증을 지원한다.

 

한편, 시는 향후 양재 일대 대규모 민간 부지 개발시 R&D 시설 확충을 유도할 수 있도록 ‘양재 AI 혁신지구’ 내 공공 앵커시설, 민간 R&D 시설 등 기반시설별 구체적 기능과 연계방안 등을 마련할 계획이다. 관련 용역을 서울연구원이 2022년에 시행한다.

 

황보연 서울시 경제정책실장은 “그간 AI 혁신허브 조성을 위한 밑그림을 그리고, 혁신기업 육성과 인재양성을 위한 기반을 잡았다면, 앞으로 5년간은 AI산업의 핵심 앵커 시설을 구축하고, 경쟁력 있는 산·학·연 생태계 조성에 집중하겠다”며, “양재가 한국의 AI 산업의 구심점이자, 글로벌 혁신거점으로 성장할 수 있도록 AI 인재육성부터 경쟁력 있는 연구소 유치, 기업 성장 등 산업 전주기를 지원해 세계 시장에서 통하는 ‘서울형 AI 산업 생태계’를 만들겠다.”고 밝혔다.